정부가 역대 최대 규모 투자계획을 밝혔습니다. 바로 <뉴딜펀드>인데요. 정부와 민간이 합쳐 5년간 170조를 투입해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20조 원 규모 국민 참여형 뉴딜펀드를 조성해 수익을 창출하겠다고 밝힌 것입니다. 과연 부동산 자금이 뉴딜로 유동성이 이동할지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.
1. 뉴딜펀드란?
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펀드는 모두 3가지 형태입니다. 조성 방식과 투자 혜택 그리고 투자처가 모두 다릅니다. 정부가 아무리 원금 보장을 외쳐도 펀드는 펀드일 뿐입니다. 꼼꼼히 살펴보고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.
- 정책형 뉴딜 펀드: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각각 3조 원, 4조 원을 출자해 모 펀드를 조성하고 모 펀드 출자와 민간 매칭을 통해 20조 원 규모 자펀드를 만드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.
- 뉴딜 인프라 펀드: 민간 금융기관과 연기금이 만드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. 파격적인 세제지원과 인센티브가 부여될 전망입니다.
- 민간 뉴딜 펀드: 일반 증권사 및 자산 운용사가 자유롭게 만들어 운영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. 여기서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할 수 있는 정책형 펀드의 자펀드, 인프라펀드, 민간 펀드 등이 해당되죠.
2. 뉴딜펀드 관련주 종목
한국판 뉴딜펀드는 뉴딜과 관련된 모든 기업이 해당됩니다. 창업, 벤처기업, 중소기업 등 디지털·그린 뉴딜과 관련된 기업은 모두 투자 가능합니다. 디지털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라면 대기업에도 투자 가능합니다.
- STX 중공업:수소 연료전지 관련주
- 효성중공업:수소차 충전소 점유율 1위
- 현대에너지솔루션: 태양광 모듈 판매
- OCI: 태양광 모듈 원재료 폴리실리콘 분야 국내 1위
3. 뉴딜펀드 가입방법
뉴딜펀드는 지금도 가입 가능합니다. 지난해 8월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'필승코리아 펀드'에 가입한 적이 있죠.
이 펀드가 소재, 부품, 장비 분야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이자 뉴딜펀드입니다. 또한 삼성 액티브 운용이 오는 9월 7일 '삼성 뉴딜 코리아펀드'를 출시하는데요.
이는 에너지 및 디지털 산업 주요 종목을 편입하는 종목입니다. 정책형 펀드 역시 올해 말까지 모 펀드를 조상하는데 한국 성장금융이 먼저 8천억을 출자합니다 그리고 내년 예산이 들어오면 자펀드 모집을 시작할 계획입니다.
정부가 강조하는 일반 국민들은 이 시점부터 정책형 펀드에 가입할 수 있는데 인프라 펀드 역시 세법 개정이 필요한 것을 보면 빨라도 내년 초는 되어야 모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
[관련글]농협 필승코리아 펀드 가입 방법
4. 뉴딜펀드 구매처 가입한도
뉴딜펀드는 기본적으로 증권사 창구에서 살 수 있습니다. 아무래도 국민 접근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. 또 은행이나 판매사를 두고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. 가입한도는 아직 지정되지 않았고 투자시 혜택을 볼 수 있는 금액은 한도가 정해지지 않을까 싶네요.
5. 뉴딜펀드 기대수익률
정치권 중심으로 3% 수익률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지만 이는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. 하지만 정책형 뉴딜펀드의 경우 국고채 이자보다는 높은 수익률이 나올 것 같습니다.
현재 1년 만기 예금 이자율이 0.8%, 국고채 3년 물이 0.923%, 10년 물이 1.539%라는 점을 고려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물론 정책형 펀드도 종류에 따라 수익률이 천차만별이 될 수 있습니다.
6. 뉴딜펀드 원금 보장
펀드를 사람들이 꺼려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'원금 보장' 때문입니다. 말로는 위험성이 적고 원금 손실이 없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건 매우 위험한 소리죠.
다만, 정부 투자금 35%가 손실을 먼저 흡수하는 후순위 출차입니다. 펀드가 투자해서 35% 손실이 날 때까지는 모두 흡수하겠다는 말인데요.
따라서 사실상 투자원금은 보장될 것으로 보입니다. 하지만 손실이 생기면 국민 혈세로 원금을 보장한다는 것 자체에 대한 우려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
정부는 한국판 뉴딜 펀드 투자에 대해 비생산적인 부동산 투자 시장의 유동성을 생산적인 부분으로 이동시킬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
물론 정부 계획대로 된다면 부동산 시장도 안정화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다만 기대 수익률 확보가 시급해 보이는데 과연 투자자들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을지가 관건인 것 같네요.
출처: 기획재정부